

2024 상반기 LG전자 산학장학생 도전 후기입니다. 아쉽게도 2차면접 탈로 마무리했지만 대학원 졸업 전에 채용 프로세스를 경험해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며😇.. 짧은 후기 남깁니다.
채용 프로세스
일정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3/29(금) | 온라인 지원 마감 | |
4/5(금) | 1차 서류전형 발표 | |
4/13(토) | 코딩 테스트 | *10시 |
4/14(일) | 인적성 검사 | *10, 13시 중 시간 선택 |
4/26(금) | 최종 서류전형 발표 | |
5/9(목)~5/14(화) | 1차 기술면접 | *부서마다 면접 날짜 다름 |
5/27(월) | 1차 면접 결과발표 | |
6/10(월)~6/13(목) | 2차 인성면접 | *부서마다 면접 날짜 다름 |
7/3(수) | 2차 면접 결과발표 |
제가 지원한 부서를 기준으로한 면접 날짜이며, 2차 면접 결과발표 뒤에 건강검진, 최종 발표도 있습니다.
코딩테스트
코테는 노베이스여서 개념공부 1주, 문제풀이 1주 이렇게 2주 정도 준비했습니다. 개념이 안잡혀있었기 때문에 이코테 유투브 강의 들으면서 알고리즘 개념을 익힌 뒤, 프로그래머스로 문제풀이 연습했습니다. 개념 공부를 위해 이런 저런 유투브 강의를 찾아봤는데 이코테가 제일 이해하기 쉽게 또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셔서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프로그래머스는 주로 Lv.2~3 정도의 문제들을 풀었습니다.
https://youtu.be/m-9pAwq1o3w?si=Sehl9cH6cxnOmNnS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어떤 문제가 나왔는지 언급할 순 없지만 구현, bfs/dfs 위주로 공부하였고 3문제 중 2솔 했습니다. 파이썬으로 보신다면 기본 라이브러리(e.g.itertools, math) 정도 활용할 수 있도록 익혀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면접
1차 면접
기술 면접으로 제출한 포트폴리오를 보고 관심있는 팀 분들이 면접관으로 들어오시는 듯 합니다. 저의 연구와 관련된 일을 하시거나 적어도 관심을 가진 분들이 오시기 때문에, 기술 관련 위주로 질문을 많이 받았습니다. 연구를 왜 하게 되었는지, 학회 경험, 기초 개념 등을 물어보셨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진행된 무난 깔끔한 면접이었습니다. 그런데 모든 면접이 그렇듯 면접관마다 질문의 범위가 다양하기 때문에 질문 대비는 기술, 인성 모두 준비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면접은 줌으로 하는 온라인 면접이었고, 총 면접시간은 한사람당 40분인데 저는 30분만에 끝났었습니다. 일찍 끝나는게 안좋은 시그널이라는 이야기를 들어서 살짝 불안했었지만 다행히 무사통과!
2차 면접
1차와 마찬가지로 온라인 일줄 알았으나 2차는 대면 면접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대면이라 긴장됐었던 것도 있지만 겸사겸사 회사 구경도 해서 좋았습니다. 면접자마다 개별 면접 시간이 달라, 애초에 회사에 도착하는 시간도 각자 다른 시스템이었습니다. 모두 아침일찍 도착해 대기하다가 한명씩 들어가서 면접보는 무한대기 시스템은 아니었습니다.
임원 면접으로 원래 인성 면접이 주 이지만 기술 질문도 여러개 받았습니다. 기술 40%, 인성 60% 정도의 비율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부서마다 포트폴리오 준비 여부까지도 다 달랐기 때문에 질문은 부바부로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면접 분위기는 초반엔 날카롭다가 후반에는 좋았다고 생각했는데 역시 면접 결과는 면까몰인가 봅니다..ㅎㅎ 저에게는 경험으로 남게 되었지만 다들 잘 준비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저에게 공감과 댓글은 더 좋은 글을 작성하는 원동력이 됩니다. 감사합니다.